fnctId=profInfo,fnctNo=834
Research interests
- Text Mining and Machine Learning
- Explanatory item response modeling: Theory, application and extension
- Classroom assess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
- Applications of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s in Education: Application to educational assessmen
Research
-
Thesis
-
Journal Articles펼치기
- Q-Craft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생성문항 타당성 평가 연구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Vol.24,No.18, 2024
- 단계적 적응형 검사(MST)에서 피험자 능력 추정 방법의 정확성 비교, 교육평가연구, 2024
- 한국어 읽기 평가에서 자동 문항 생성의 가능성 탐색, Journal of Education & Culture (JOEC), 2024
- A case study on standard setting for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university students,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, Vol.23, 1077~1093, 2023
- 한국어 논?서술 답안 자동채점 프로그램 PASTA-I 개발, 교육평가연구, Vol.36,No.4, 711~730, 2023
- The application of chatbot as an L2 writing practice tool, LANGUAGE LEARNING & TECHNOLOGY, Vol.27,No.1, 2023
- The effect of creating an English storybook using generative AI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’ learning motivation, 영어교과교육, Vol.22,No.4, 177~196, 2023
-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’ Learning Attitudes Based on Lecture Types, 교육문화연구, Vol.29,No.5, 103~121, 2023
- Exploring the potential of using ChatGPT as a content-based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ool, 영어교과교육, Vol.22,No.1, 171~192, 2023
- 인공지능 생성 지문에 대한 예비 교사 인식 조사 연구, 이중언어학, No.90, 193~217, 2022
- SEMtree를 활용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창의성 성장 모형 분석 사례 연구, 교육평가연구, Vol.35,No.4, 787~812, 2022
- 충분한 데이터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 인공지능 서·논술형 평가 채점모델 구축 방안, 교육문화연구, Vol.28,No.5, 25~42, 2022
-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tential of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s an instructional scaffolding device in second language reading lessons, SYSTEM, Vol.109, 2022
- 한국어 에세이 문항 자동 채점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듬 탐색, 교육평가연구, Vol.35,No.3, 465~488, 2022
- 국내외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능의 사용 분포 비교, Convergence Studies in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(CELL), Vol.7,No.2, 103~125, 2022
- LQ 지수를 활용한 문항 난이도 조정 방안 : 수능 국어 영역을 중심으로, 교육문화연구, Vol.28,No.2, 127~144, 2022
- 한국어 쓰기 평가를 위한 자동채점의 가능성 탐색, 이중언어학, No.86, 171~191, 2022
- 순환신경망 장단기 기억(LSTM)을 이용한 자동 채점의 가능성 탐색, 교육과정평가연구, Vol.24,No.4, 223~238, 2021
- 과정중심 평가 정책에 대한 일반계 교사의 인식 연구, Brain, Digital, & Learning, Vol.11,No.2, 341~354, 2021
- The effect of using online language-support resources on L2 writing performance, Language Testing in Asia, Vol.11,No.1, 2021
-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-19 Pandemic, 교육과정평가연구, Vol.23,No.4, 39~57, 2020
- 원격교육 시대의 인공지능 활용 온라인 평가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Vol.20,No.14, 389~407, 2020
-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연구 Y대학: 사례 중심으로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Vol.20,No.8, 1143~1165, 2020
-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및 연어 지식 탐색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Vol.19,No.19, 927~948, 2019
- 라쉬모형을 이용한 연어 능숙도 평가 타당성 검증 연구, 교과교육학연구, Vol.23,No.5, 448~457, 2019
- 라쉬모형을 이용한 초등학생용 영어 어휘 검사지의 위계성 검증, 영어교과교육, Vol.18,No.4, 189~209, 2019
- A Construct Modeling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Adolescent Readers, Reading Psychology, Vol.40, 191~241, 2019
-
Books펼치기
- 디지털시대의 인공지능과 교육, 학지사, 2024
-
Book Chapters
-
Patents
-
Citation and Awards